[역사 그리고 이야기 농사] #2) 전봉준 청소년시절(13~18세)_집터와 서당터

* 이 글은 역사적 사실에 픽션(상상)을 더한 내용으로 글의 흐름상 구어체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전봉준 장군의 새로운 세계로의 도도한 흐름을 만들어낸 원동력을 엿볼 수 있다Previous image Next image영국의 “이야기 클럽”문화/@출처:네이버영국 리버풀은 산업 혁명과 함께 영국 제1의 항만으로 성장했다.원자재 수입과 공업 제품의 수출은 물론 대서양 노예 무역도 여기서 이루어졌다.현대에 들어 급격히 쇠퇴하고 21세기 들어”비틀즈”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문화의 도시로 거듭난다.영국인은 낡은 골목 하나하나에 녹아 있다”사람이 산 흔적”을 말한다.한 마을이나 지역과 관련해서 일어난 역사를 하나도 버리지 않고 오늘의 눈으로 살렸다.대수롭지 않게 보이는 말을 재미 있게 풀어내다.그 연장선에서 판타지 소설”로드·오브·더·링”과 “해리·포터”이 나오고, 실수·사이공이 나왔다.이처럼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말씀 클럽”이 전국에 수천, 수만개 존재한다는 그들의 여유와 문화적 토양이 부럽다.해리·포터를 보면 단 한명의 상상 속에서 썼다고 볼 수 없다.너무 방대하고 자연에서 스펙터클이 아닌가? これは多様な人たちが一緒に暮らしてきた数多くの話を、今日を生きる人たちが種縄と縄でうまく編み出した結果だ。버려진 이야기의 재발견 전북특별자치도의 시·공간은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파란만장하고 역동적이다. 그중 압권은 19세기 말 한반도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이다. 그 시점에서 세상을 평등하게 하고 외세의 침탈을 막으려는 사람들의 ‘집단지성’이 발현된 곳이자 동시에 강렬한 ‘에너지의 표출 경로’라는 점에서 세계사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그 역사의 출발점이 전북이다. 수많은 유·무형의 무용담이 펼쳐지고 확장되면서 지금까지 ‘기반 기억’으로 작동해온 서사에서도 우리 전북특별자치도가 중심축이다. 따라서 우리 지역에서 버려지거나 놓치고 있는 이야기들을 재발견하는 수많은 ‘전북이야기클럽’이 생겼으면 좋겠다.어린 전봉준이 삶의 지혜를 배우던 시절의 흔적 / 감곡, 금구, 원평전봉준 1894년 / @출처 : 네이버정·봉 준 가족이 태인에 이사한 이유 1855년 고 창당 마을에서 태어난 전·본 준은 어머니에 무척 따랐다.12살 되던 해(1866년), 어머니의 언양(온양)김 씨가 세상을 떠난다.아버지의 전·기챠은(장혁)은 41살 때 어머니와 아들의 본 준과 딸을 데리고 당촌을 떠나고 고부에 이사.그 이유는 어머니가 죽자 본 준은 평소 그 답지 않게 어머니 생각과 슬픔, 너무 시달렸다.어린 아들의 슬픔을 볼 수 없고 어머니의 생각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는 도움을 주고 싶었다.어머니와 추억이 살아 있는 당촌을 떠나고 고부에 이사한 것이다.본 준의 아버지는 아무런 연고도 없는 곳보다는 처가 쪽 사람이 여럿 살고 있고, 여러모로 편리했기 때문에 고부에 이사한 것이다.그러나 이사 1년도 지나기 전에 태인 감곡면의 팬 세 마을로 이사했다.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연회장/@출처: 드라마 <녹두꽃> 캡처고부로 이사하여 살던 어느 날 처가 쪽으로 마을 수가 좀 먼 집에 잔치가 열렸다. 이때 기찬은 열두 살 봉준을 데리고 연회에 참석하였다. 잔치가 한창이었고, 기찬도 여러 양반들과 함께 식사를 했다. 그러던 중 한 젊은 양반이 하인에게 고기전이 없어졌으니 고기를 더 가져오라고 했다. 그러나 얼마 후 밥을 거의 먹을 때까지 아무 소리도 내지 않았다. 양반의 체면이 서지 않는다고 느낀 그는 얼굴이 붉어졌다 파랗게 질렸다.고부로 이사하여 살던 어느 날 처가 쪽으로 마을 수가 좀 먼 집에 잔치가 열렸다. 이때 기찬은 열두 살 봉준을 데리고 연회에 참석하였다. 잔치가 한창이었고, 기찬도 여러 양반들과 함께 식사를 했다. 그러던 중 한 젊은 양반이 하인에게 고기전이 없어졌으니 고기를 더 가져오라고 했다. 그러나 얼마 후 밥을 거의 먹을 때까지 아무 소리도 내지 않았다. 양반의 체면이 서지 않는다고 느낀 그는 얼굴이 붉어졌다 파랗게 질렸다.그렇게 인연이 닿자 기찬은 아들을 공부시키기 위해 태인 황세마을 유기공장 객사로 이사했다. 서당이 있는 종정마을은 객사에서 그리 멀지 않았다. 황새마을에는 친한 사촌 형의 아들(조카)이 살고 있어 외롭지는 않았다. 봉준은 5리가 조금 넘는 서당을 돌아다니며 18세까지 스승 여상선씨에게 글을 배웠다. 하지만 스승과의 인연은 오래가지 못했다. 봉준이 열여덟 살 무렵 과거 시험을 치르지 않겠다고 하자 스승은 그대로 두고 자기 이름을 입에 대지 말고 찾아오지 말라고 하며 인연을 끊으라고 했다. 이후 봉준은 사부에게 미안해하며 말 그대로 가슴 속에만 묻고 살아왔다. 스승의 이름이라도 남겨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 아닐 수 없다.뒷산에서 바라보는 황새마을. 왼쪽에 어린 전봉준이 살던 집터(유기장 객사터)가 보이고, 오른쪽에 모악산과 전여립의 제비산이 보인다.가운데 보이는 논밭이 유기공장 객사터, 정읍시 감곡면 계룡리 184일원종정 마을과 황새 마을과 인근 원평 시장이 중심 생활권이다.팬 세 마을 유기장 객사 흔적은 무슨 안내 표지도 없고 논과 밭으로 남아 있다.어린 본 준이 뛰놀던 마을 뒷산으로 올라가자.그리 높지 않은 낮은 야산에 굵은 소나무 숲에서 찬바람이 좋다.나무 밑 그루터기에 앉아 마을의 풍경과 멀리 뒤에 보이는 모악 산과 연산(삼각형)을 바라보며 지역에 전해지는 전설을 듣고 자랐을 본 준이다.연산에는 조선 선조 때 1589년 천하는 공물이라 어떻게 하고 주인이 따로 있는가?”천하 공권 물론”을 주창하며 대동계을 조직, 사농공상 신분제를 뛰어넘고 민주 공화국 사상을 옮기려 한 전·요리프 선생님의 성씨·가명·칭호가 있다.대동 세계 전설이 깃든 제비 산을 매일 바라보면서 어린 본 준은 청년이 되고 무슨 생각을 했을까.또 인근 10리도 안 되는 마을(금산면 삼봉리)에는 집 아저씨, 청년의 김·독도면(본 준보다 10살 많다.훗날 김구·원평이라 접대기 업주)이 살고 있었다.두 사람은 원평 시장에서 자주 만나고, 제비 산에 몇번 올라간 것이 틀림 없다.서당터로 들어가는 종정마을 입구 표지석정정마을길 돌비 2개서당 터에서 보이는 모악산과 제비산, 지금은 자동차 길을 따라가야 해서 돌아가지만 예전에는 논밭길을 가로질러 서당까지 가는 길이 그리 멀지 않았다. 외롭고 무너져가는 관리되지 않는 집터지만 스승 앞에서 책을 읽고 지혜를 터득한 열여섯 살 무렵 봉준의 모습을 연상해 보는 재미가 있다. 마을 앞길에는 옛날 원평장으로 들어가는 길이기 때문에 꽤 번성했을 마을을 상징하는 석표석 2개가 늘어서 있기도 하다. 수년간 애지중지 키운 제자가 “이런 세상에선 과거 시험 안 봐요”라며 마음을 돌렸을 때, 그를 바라보는 스승 여상선 씨의 마음은 어땠을까? 순간 가슴이 얼얼하다.어린 전봉준 장군이 다녔던 서당 터. 서울 사람 명의인데도 폐가로 방치돼 있다.어린 전봉준 장군이 다녔던 서당 터. 서울 사람 명의인데도 폐가로 방치돼 있다.커지는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보자 어린 전·본 준의 인품을 한꺼번에 깨달은 스승이요, 상송 씨의 어르신과 봉 준의 아버지인 전·기챠은의 헌신적인 사랑이 정·본 준을 후일 한반도를 넘어 세계사적 의미를 갖고 동학 농민 혁명의 주역으로 키운 것이다.갑오 동학 농민 혁명 당시 원평은 혁명 지도부의 근간이었다.어쩌면 약 20년 전 원평·감곡으로 채워졌다”깨달음과 인생의 지향”이 새로운 세상을 위한 도도한 수로를 만들어 낸 원동력이 아니었을까?어린 전·본 준이 살던 집의 자취나 서당의 자리에 안내판 하나 없는 것이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다.그러나 세상의 모든 사물은 보고 느끼는 사람의 것이라고 믿는다.보고 싶은 여행자의 시선으로 그 시간과 공간을 파고들고 한 걸음 더 들여다보면 스승의 사랑으로 정서적인 풍요로움을 그대로 맛 보면서 성장한 청소년 전·본 준의 일거수 일투족이 보인다.아이들의 손을 잡고 어린 전·본 준 장군을 만나고 어깨 동무를 하고 이야기를 장면을 상상하면서 집터에서 서당까지의 여정은 어떻습니까?크는 나무는 떡잎으로 보아 어린 전봉준의 인품을 단번에 깨달은 스승 여상선씨의 어르신과 봉준의 아버지 정기찬의 헌신적인 사랑이 전봉준을 훗날 한반도를 넘어 세계사적 의미를 지닌 동학농민혁명의 주역으로 키워낸 것이다. 갑오동학농민혁명 당시 원평은 혁명지도부의 근간이었다. 어쩌면 20여 년 전 원평·감곡으로 채워진 ‘깨달음과 삶의 지향’이 새로운 세상을 향한 도도한 수로를 만들어낸 원동력이 아니었을까? 어린 전봉준이 살던 집터나 서당터에 안내판 하나 없는 것이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사물은 보고 느끼는 자의 것이라고 믿는다. 보고 싶은 여행자의 시선으로 그 시간과 공간을 파고들어 한 걸음 더 들여다보면, 스승의 사랑으로 정서적 풍요로움을 고스란히 맛보며 성장한 청소년 전봉준의 일거수일투족이 보인다. 아이들의 손을 잡고 어린 전봉준 장군을 만나 어깨동무를 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을 상상하며 집터에서 서당까지 가는 여정은 어떨까요?크는 나무는 떡잎으로 보아 어린 전봉준의 인품을 단번에 깨달은 스승 여상선씨의 어르신과 봉준의 아버지 정기찬의 헌신적인 사랑이 전봉준을 훗날 한반도를 넘어 세계사적 의미를 지닌 동학농민혁명의 주역으로 키워낸 것이다. 갑오동학농민혁명 당시 원평은 혁명지도부의 근간이었다. 어쩌면 20여 년 전 원평·감곡으로 채워진 ‘깨달음과 삶의 지향’이 새로운 세상을 향한 도도한 수로를 만들어낸 원동력이 아니었을까? 어린 전봉준이 살던 집터나 서당터에 안내판 하나 없는 것이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사물은 보고 느끼는 자의 것이라고 믿는다. 보고 싶은 여행자의 시선으로 그 시간과 공간을 파고들어 한 걸음 더 들여다보면, 스승의 사랑으로 정서적 풍요로움을 고스란히 맛보며 성장한 청소년 전봉준의 일거수일투족이 보인다. 아이들의 손을 잡고 어린 전봉준 장군을 만나 어깨동무를 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을 상상하며 집터에서 서당까지 가는 여정은 어떨까요?크는 나무는 떡잎으로 보아 어린 전봉준의 인품을 단번에 깨달은 스승 여상선씨의 어르신과 봉준의 아버지 정기찬의 헌신적인 사랑이 전봉준을 훗날 한반도를 넘어 세계사적 의미를 지닌 동학농민혁명의 주역으로 키워낸 것이다. 갑오동학농민혁명 당시 원평은 혁명지도부의 근간이었다. 어쩌면 20여 년 전 원평·감곡으로 채워진 ‘깨달음과 삶의 지향’이 새로운 세상을 향한 도도한 수로를 만들어낸 원동력이 아니었을까? 어린 전봉준이 살던 집터나 서당터에 안내판 하나 없는 것이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사물은 보고 느끼는 자의 것이라고 믿는다. 보고 싶은 여행자의 시선으로 그 시간과 공간을 파고들어 한 걸음 더 들여다보면, 스승의 사랑으로 정서적 풍요로움을 고스란히 맛보며 성장한 청소년 전봉준의 일거수일투족이 보인다. 아이들의 손을 잡고 어린 전봉준 장군을 만나 어깨동무를 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을 상상하며 집터에서 서당까지 가는 여정은 어떨까요?글,사진=안병권 기자 사진=네이버글,사진=안병권 기자 사진=네이버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