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옵션으로 장기적으로 망하다

오늘 말하고 싶은 요지는 지엽적인 오버의 문제보다 안목 또는 마인드에 관한 것입니다. 우선 옵션 매수 관점에서 콜도깨비가 적혀 있으면 단기적으로 잃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벌 가능성이 높지만 풋도깨비가 적혀 있으면 다행히 벌 수 있지만 시간 함수에서 결국 아웃될 확률이 높습니다. 옵션은 콜로 망하는 것이 아니라 풋으로 망합니다. 911테러나 한국의 imf 사태처럼 극적인 상황이 벌어지면 풋 매수로 단숨에 수백 배씩 벌 수 있습니다. 풋의 수익은 대부분 빛의 속도로 지나가는 것이 문제입니다. 도이토리 증권 사태 때 만기 결제일에 문을 닫고 부대박을 준 예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풋 매수가 결국 비극을 초래할까요? 현물시장이 주식이 떨어지는 것을 선호하는 주체는 없기 때문입니다. 정부나 대주주, 하물며 소액주주도 자기 보유 주식이 떨어지기를 원합니까? 그냥 기회만 되면 쫓아내느라 여념이 없어요. 그래서 자산시장은 장기적으로 상승세라고 합니다(인플레이션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나라가 망하고 지구가 망하면 0원이 될지도 모르지만 그런 극단적인 경우는 기우에 불과합니다. 현물이 올라가는데 어떻게 파생시장이 오르지 않을까요? 이렇게 반문할 수도 있어요. 제2차 세계대전이나 대공황 시절, 몇 년에 걸쳐 폭락하지 않았나, 게다가 망하지 않은 주식도 거의 1/10이 되지 않았나. 한국의 imf 시대도 몇 년 폭락했으니 어떻게 올라갔다고 헛소리를 하는가. 그럼 거꾸로 생각해봅시다. 대공황으로 신음하다가 미국에서 거지가 망했을 때 소위 망한다는 소문의 동전주를 매집했다면, 또 한국 imf 시절에 그런 주식을 매집했다면(당시 우량주도 액면가 이하였다) 지금은 어떨까? 문제는 그 시대로 돌아가면 과연 미국이 망하고(대공황) 한국이 망한다는 것인데(imf) 주식을 살 용기가 날까? 게다가 눈앞에서 무너져가는 회사의 주식이 상폐되고 있는데? 증권주를 샀다가 망해서 휴지가 되는 경험을 하고 있는데? 당시 초우량 기업이었던 장기신용은행도 도산했는데? 또 초초우량 회사였던 종금계 블루칩의 새한종금이 망하고 있는데? (모두 내가 직접 매매된 실물주식인) 우리는 결과를 알게 되면 마치 처음부터 알고 있었다고 착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콜을 사면 미치광이이고 풋을 사면 현명하고 용사인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자산시장에서 당연한 일을 당연히 하다 보면 당연히 화를 입을 때가 많았습니다. 정의 심리학 용어에 ‘대극의 반전’이라고 해요(조용한 사람이 화가 나면 무섭고 용감해 보이는 사람이 전쟁터에서 1번으로 도망간다고 해요). 주역인 태양괘의 괘사도 항룡유회입니다(하늘 높이 날아오른 용에게 후회가 있다). 김구 선생의 백범인데도 나무에 올라 한 손만 떼는 게 용기가 아니라 두 손을 떼는 게 용기라고. 이미 포드가 망했고 그래서 미국이 망한다는데 이미 대우가 망했고 그래서 한국이 망한다는데? 이 상황에서 주식을 사서 콜(선물)을 매수한다고? 확실히 미친 사람이 100% 확실해요~ 실패하는 것보다 더 최악인 것은 무엇일까요? 모두 실패했기 때문에 마침내 살아남은 회사, 살아남은 나라가 독점의 이익을 누릴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존 템플턴이 제2차 세계대전 때 망한다는 주식을 다양하게 사놓고 섬으로 도피(?)하고 전화도 끊고 유유자적했다는 일화는 바로 그 단면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절망을 사서 느긋하게 기다린 거죠~ 실제로 9·11 테러 이후 미국 시장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콜옵션, 선물과 현물 매수한 사람들이 장기적으로 대박을 터뜨렸습니다. 한/미 차트가 비슷해서 저희도 마찬가지였어요. 현물의 흐름을 느끼지 않고 파생에 올인하는 것은 휘발유를 사용하여 불의 구멍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게다가 한 방에 다 하면 그냥 신나게 씌워서 불을 붙이는 거예요. 또 하나, 주식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 어떻게 보면 주식의 유령에 홀린 사람들은 부동산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산 버블(상승)은 부동산과 주식이 함께 옵니다. imf 시절 강남 아파트 분양권을 산 실화(내 지인 이야기)를 하나 소개합니다. 그 지인이 imf 직전에 서초동의 40평형 아파트를 1억 2천에 분양받았어요. imf가 터지자 역프리미엄이 발생하여 8천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러니까 그 아파트 분양권을 사면 오히려 4천을 받고 사게 되는 거죠. 그래도 강남에 아파트 하나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손해를 보고 자기 형한테 40평을 주고 30평으로 내려가서 지금도 그 아파트에 살고 있어요. 요즘 시세로 20~30억으로 하고 싶어요. 아마 당시 분양권 시세로 보면 5~6천 정도 될 것 같습니다. 또 하나 예를 들면, 당시 아파트 전세가 오히려 집값보다 비싸기도 했습니다, 이른바 깡통전세. 왜냐하면 전세에 들어갔는데 집값이 급락해서 저렇게 되다 보니까 안 그래도 별 차이가 없었어요. 이것은 시골 구석구석의 이야기가 아니라 서울과 강남에도 해당되는 이야기입니다. 당시 제 지도교수님이 대치동 아파트를 빌려 분당을 내려가면서 하시는 말씀, 요즘 젊은 사람들은 이해가 안 가. 무슨 전세를? 억원씩 내고 살다니. 하기야 회사 돈으로 그럴 것 같은데.’ 즉, 당시 집값과 전세가격이 같기 때문이라는 이야기였습니다. 나라가 망한다는데 집값이 떨어지는 것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지극히 당연한 것입니다. 그러다 서서히 전세가 바닥나자 집값도 슬슬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내가 산본에 살 때인데, 한 아저씨가 매일 중개사 사무실에 상주하면서 아파트를 사서 전세를 주고 있었다. 1~2천에 하나 사서 전세 주고 그랬는데 요즘 보면 갭투자네요. 1~2억이면 10채도 가능! 제가 많이 벌었다고 하면 분당 아파트였으면 더 벌었을 텐데 많이 벌지 못했대요~ 요즘 한국에서 일어나는 사태도 imf 시대랑 똑같습니다. 주식만 몇 배씩 오른 게 아니라 특히 서울/경기 부동산 레버리지를 잘 활용했다면 주식만큼 기회가 있었습니다. 재개발 빌라를 1~2억원 안팎에 인수한 것(전세를 활용했다면 5천~1억원 정도 필요했을 것), 3년여 만에 7~8억원씩 시세가 올라 5천 투자로 5억원을 벌었다면 10배의 시세가 된 것입니다. 물론 3~5년을 기다리는 미학이 필요하긴 했어요. 자, 이쯤에서 마무리해 봅시다. 자산 시장에 악재가 닥치면 단기적으로 시세도 그에 따라 움직입니다 오늘 말하고 싶은 요지는 지엽적인 오버의 문제보다 안목 또는 마인드에 관한 것입니다. 우선 옵션 매수 관점에서 콜도깨비가 적혀 있으면 단기적으로 잃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벌 가능성이 높지만 풋도깨비가 적혀 있으면 다행히 벌 수 있지만 시간 함수에서 결국 아웃될 확률이 높습니다. 옵션은 콜로 망하는 것이 아니라 풋으로 망합니다. 911태

error: Content is protected !!